역경을 이겨내고 다시 맞이하는 태평성대를 바라는 마음으로 플어...
문화부천을 지향하는 부천문화재단과 민주당 서영석국회의원의 지원..
2025년 경기문화재단의 공모사업선정작인 우리 전통춤을 계승하는 선우예술단(대표 박영미)이 10월 1일 오후 7시30분 오정아트홀에서 강구연월:풀이의 춤판이란 제목의 살풀이춤, 승무, 들의 전통춤 한마당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다양한 기회를 필요로 하는 전통 분야 젊은 예술가들이 창작 활동을 하는 데 발판이 될 수 있도록 2025년 진행한 경기문화재단의 부천예술찻기-미로의 선정작으로써 국가문화유산 살풀이춤 이수자인 선우예술단 박영미대표가 기획하고 연출한 전통춤 공연이다.
박영미대표는 강원도 출신이지만 호남류 살풀이춤의 대가인 이매방선생님께 춤을 전수받았으며 우리춤연구소 대표로 우리 전통춤을 연구하고 널리 알리는데 매진하는 부천사람이기도 하다. 전통예술의 보급 및 저변 확대, 신진 인력 양성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공연은 연이어 벌어졌던 국가적 재난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이땅의 모든 국민들의 고통과 갈등을 위로하는 정화의 춤인 송선숙-송임숙님의 살풀이춤으로 1부를 시작한다. 몇 년간 여러 재난으로 졸지에 목숨을 잃은 망자들을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보내주는 지전춤이다.
8개의 마당으로 진행되는 이번 공연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공연은 7번째인 천지의 울림-평화의 북소리 공연이다.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며 북의 소리가 액운을 몰아낸다는 공연으로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자진모리, 굿거리,동살풀이 장단으로 구성된 다채롭고 역동적 에너지가 넘치는 진도 북춤이다.
이밖에도 4번째인 염원의 칼끝-구국의 검무도 시선을 사로잡을것으로 예상된다. 벽사진경의 의미를 담은 춤으로 임진왜란 당시의 전투상황을 재현한데서 유래한 춤으로 궁중계 검무중 가장 오래된 목이 꺽이지 않는 칼을 사용하는 위엄이 느껴지는 춤이다.
민족문화인 우리 전통춤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일에 부천시는 좀 등한시했던 측면이 있었다. 부천아트센타등의 대형문화공간에는 집중투자하면서, 우리의 것, 우리의 역사를 되새기고 계승하기엔 부천은 척박한 땅이었다.
부천의 항일투쟁 역사도 제대로 담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민족의 한이 담긴 살풀이춤이 더 이상 천대받고 외면받지 않게 시민들에게 우리의 것으로 인정받고 발전시키는 것은 더욱 요원한 일이라고 박영미대표가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부천갑지역위의 서영석 국회의원을 관심을 갖고 협조를 약속하기도 했으나 더 많은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에 의견이 일치한다.
이번 선우예술단의 강구연월-폴이의 춤판 무대는 예인의 뿌리를 다시 밝히고 지역 예술의 정체성과 전통예술의 가치를 동시에 되새기는 문화적 환원이자 예술 유산의 뜻깊은 무대이다. 지역예술의 토대를 다지고 발전시키는 의미에서 많은 시민들의 관심과 응원이 있기를 기대한다.
이번 공연은 다양한 기회를 필요로 하는 전통 분야 젊은 예술가들이 창작 활동을 하는 데 발판이 될 수 있도록 2025년 진행한 경기문화재단의 부천예술찻기-미로의 선정작으로써 국가문화유산 살풀이춤 이수자인 선우예술단 박영미대표가 기획하고 연출한 전통춤 공연이다.
|
박영미대표는 강원도 출신이지만 호남류 살풀이춤의 대가인 이매방선생님께 춤을 전수받았으며 우리춤연구소 대표로 우리 전통춤을 연구하고 널리 알리는데 매진하는 부천사람이기도 하다. 전통예술의 보급 및 저변 확대, 신진 인력 양성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공연은 연이어 벌어졌던 국가적 재난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이땅의 모든 국민들의 고통과 갈등을 위로하는 정화의 춤인 송선숙-송임숙님의 살풀이춤으로 1부를 시작한다. 몇 년간 여러 재난으로 졸지에 목숨을 잃은 망자들을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보내주는 지전춤이다.
|
8개의 마당으로 진행되는 이번 공연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공연은 7번째인 천지의 울림-평화의 북소리 공연이다.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며 북의 소리가 액운을 몰아낸다는 공연으로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자진모리, 굿거리,동살풀이 장단으로 구성된 다채롭고 역동적 에너지가 넘치는 진도 북춤이다.
이밖에도 4번째인 염원의 칼끝-구국의 검무도 시선을 사로잡을것으로 예상된다. 벽사진경의 의미를 담은 춤으로 임진왜란 당시의 전투상황을 재현한데서 유래한 춤으로 궁중계 검무중 가장 오래된 목이 꺽이지 않는 칼을 사용하는 위엄이 느껴지는 춤이다.
민족문화인 우리 전통춤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일에 부천시는 좀 등한시했던 측면이 있었다. 부천아트센타등의 대형문화공간에는 집중투자하면서, 우리의 것, 우리의 역사를 되새기고 계승하기엔 부천은 척박한 땅이었다.
|
부천의 항일투쟁 역사도 제대로 담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민족의 한이 담긴 살풀이춤이 더 이상 천대받고 외면받지 않게 시민들에게 우리의 것으로 인정받고 발전시키는 것은 더욱 요원한 일이라고 박영미대표가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부천갑지역위의 서영석 국회의원을 관심을 갖고 협조를 약속하기도 했으나 더 많은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에 의견이 일치한다.
이번 선우예술단의 강구연월-폴이의 춤판 무대는 예인의 뿌리를 다시 밝히고 지역 예술의 정체성과 전통예술의 가치를 동시에 되새기는 문화적 환원이자 예술 유산의 뜻깊은 무대이다. 지역예술의 토대를 다지고 발전시키는 의미에서 많은 시민들의 관심과 응원이 있기를 기대한다.
|
이음플러스뉴스
<저작권자 이음플러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