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시민·행정이 함께 그리는 부천 문화의 새로운 길
200여 명의 시민이 함께한 부천 문화정책 논의의 장
부천문화재단(대표이사 한병환, 이하 재단)은 11월 11일 ‘문화정책 포럼 <새로운 가능성과 확장성>’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시민과 함께 부천 문화의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포럼은 재단 문화정책협의체와 주제별 시민회의 라운드테이블 현장을 담은 오프닝 영상으로 문을 열었으며, 1부 발제 세션과 2부 지역문화 정책토크로 나누어 진행됐다.
1부에서는 ▲라도삼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기조 강연자로 나서, 대내외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문화재단의 근본적 혁신 방향과 세 가지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어 ▲장해영 부천시의회 재정문화위원장이 ‘부천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예산, 축제, 공간, 기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천 문화예술의 현안을 진단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는 ▲김종길 경기문화재단 정책실장이 지역문화재단과 행정의 역할 전환을 통한 새로운 문화자치를 위한 전략을 제안했다.
2부에서는 ‘지역문화 정책토크’에서는 ▲최혜자 문화디자인자리 대표의 사회로 ▲손영철 부천생활문화예술협회 이사, ▲염동기 부천미술협회 지부장, ▲정재성 시민PD(재단 문화정책협의체), ▲정혜지 가죽공방 유일공작소 대표(재단 문화정책협의체), ▲최승삼 부천시골목상점가연합회 사무국장, ▲변자영 재단 정책기획부장 등이 참여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패널들은 예술가의 자생력 강화,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예술적 접근,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확대 등 지역문화재단의 협력 플랫폼으로서의 역할 확대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나눴다.
한병환 대표이사는 “장시간 자리를 함께하며 소중한 의견을 나눠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제안된 의견을 경청해 부천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포럼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재단이 발간하는 이슈페이퍼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며, 관련 자료집은 재단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이번 포럼은 시민과 함께 부천 문화의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포럼은 재단 문화정책협의체와 주제별 시민회의 라운드테이블 현장을 담은 오프닝 영상으로 문을 열었으며, 1부 발제 세션과 2부 지역문화 정책토크로 나누어 진행됐다.
|
1부에서는 ▲라도삼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기조 강연자로 나서, 대내외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문화재단의 근본적 혁신 방향과 세 가지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어 ▲장해영 부천시의회 재정문화위원장이 ‘부천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예산, 축제, 공간, 기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천 문화예술의 현안을 진단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는 ▲김종길 경기문화재단 정책실장이 지역문화재단과 행정의 역할 전환을 통한 새로운 문화자치를 위한 전략을 제안했다.
|
2부에서는 ‘지역문화 정책토크’에서는 ▲최혜자 문화디자인자리 대표의 사회로 ▲손영철 부천생활문화예술협회 이사, ▲염동기 부천미술협회 지부장, ▲정재성 시민PD(재단 문화정책협의체), ▲정혜지 가죽공방 유일공작소 대표(재단 문화정책협의체), ▲최승삼 부천시골목상점가연합회 사무국장, ▲변자영 재단 정책기획부장 등이 참여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패널들은 예술가의 자생력 강화,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예술적 접근,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확대 등 지역문화재단의 협력 플랫폼으로서의 역할 확대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나눴다.
|
한병환 대표이사는 “장시간 자리를 함께하며 소중한 의견을 나눠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제안된 의견을 경청해 부천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포럼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재단이 발간하는 이슈페이퍼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며, 관련 자료집은 재단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이음플러스뉴스
<저작권자 이음플러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